정보처리기능사 필기 핵심 요약 - 전자계산기 일반

정보처리기능사 필기 핵심 요약
전자계산기 기초부터 완벽 정리


정보처리기능사 필기 핵심 요약 - 전자계산기 일반

1. 컴퓨터의 개요

(1) 컴퓨터의 특징

  • 대량의 데이터 처리: 한 번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음.

  • 정확성: 사람이 하는 연산보다 오차가 거의 없음.

  • 자동화: 한 번 프로그램을 작성하면 자동으로 처리 가능.

  • 다목적 사용: 여러 분야에서 활용 가능(예: 문서 작성, 그래픽 디자인, 데이터 분석 등).

(2) 컴퓨터의 발전 과정

  • 1세대(1940~1950년대): 진공관을 사용한 컴퓨터. 크기가 크고 발열이 심하며 속도가 느림.

  • 2세대(1950~1960년대): 트랜지스터 사용으로 크기가 줄고 성능이 향상됨.

  • 3세대(1960~1970년대): 집적 회로(IC) 사용으로 신뢰성이 향상되고 소형화됨.

  • 4세대(1970~현재): 마이크로프로세서 사용, 개인용 컴퓨터(PC) 등장.

  • 5세대(현재~미래): 인공지능(AI)과 초고속 컴퓨팅 기술이 적용됨.


2. 하드웨어 구성 요소

(1) 중앙처리장치(CPU)

  • 제어 장치(Control Unit, CU): 명령어를 해독하고 실행 순서를 결정하는 역할.

  • 연산 장치(Arithmetic Logic Unit, ALU): 사칙연산 및 논리 연산을 수행.

  • 레지스터(Register): CPU 내부의 초고속 임시 기억 장치로 연산 결과를 저장.

(2) 기억 장치

  • 주기억 장치(RAM, ROM): CPU가 직접 접근하여 데이터를 읽고 씀.

  • 보조 기억 장치(HDD, SSD, USB 등): 데이터의 영구 저장을 담당.

  • 캐시 메모리(Cache Memory): CPU와 RAM 간 속도 차이를 줄이기 위한 고속 메모리.

(3) 입력 및 출력 장치

  • 입력 장치: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는 장치(예: 키보드, 마우스, 스캐너, 터치패드 등).

  • 출력 장치: 컴퓨터가 처리한 결과를 출력하는 장치(예: 모니터, 프린터, 스피커 등).


3. 데이터 표현 방식

(1) 수의 체계

  • 2진수(Binary): 컴퓨터는 0과 1로만 데이터를 저장하고 연산함.

  • 8진수(Octal): 2진수를 3비트씩 묶어 표현(0~7 범위 사용).

  • 16진수(Hexadecimal): 2진수를 4비트씩 묶어 표현(09, AF 사용).

(2) 문자 코드

  • ASCII(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): 7비트 또는 8비트 문자 코드로 영어 및 일부 특수 문자 표현.

  • EBCDIC(Extended Binary Coded Decimal Interchange Code): IBM에서 개발한 8비트 문자 코드로 대형 컴퓨터에서 사용.

  • Unicode: 다양한 언어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는 확장된 문자 코드(UTF-8, UTF-16 등 포함).


4. 논리 회로와 연산

(1) 논리 게이트

  • AND(논리곱): 두 입력이 모두 1일 때만 1 출력.

  • OR(논리합): 두 입력 중 하나라도 1이면 1 출력.

  • NOT(부정): 입력값을 반전 (0→1, 1→0).

  • XOR(배타적 논리합): 두 입력이 다를 때만 1 출력.

(2) 조합 논리 회로

  • 반가산기: 두 개의 입력값을 더해 합과 자리올림을 구하는 회로.

  • 전가산기: 반가산기를 확장하여 세 개의 입력값을 처리하는 회로.

  • 인코더: 여러 개의 입력 중 하나를 활성화하여 특정 코드로 변환.

  • 디코더: 코드화된 신호를 원래의 여러 개 신호로 변환.


5. 컴퓨터의 저장 장치

(1) 주기억 장치

  • RAM(Random Access Memory): 휘발성 메모리로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사라짐.

  • ROM(Read-Only Memory): 비휘발성 메모리로 읽기 전용, 시스템의 기본적인 동작을 저장.

(2) 보조기억 장치

  • HDD(하드 디스크 드라이브): 회전하는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, 비교적 저렴하지만 속도가 느림.

  • SSD(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): 반도체 기반 저장 장치로 속도가 빠름.

  • USB/메모리 카드: 휴대용 저장 장치로 사용됨.


6. 운영 체제 개요

(1) 운영 체제의 역할

  •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관리 및 운영.

  • 자원 할당 및 프로세스 관리 수행.

  • 사용자 인터페이스(UI) 제공.

(2) 주요 운영 체제

  • Windows: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(GUI) 기반, 사용이 쉬움.

  • Linux: 명령어 기반의 오픈 소스 운영 체제.

  • MacOS: 애플 컴퓨터에 최적화된 운영 체제.


7. 네트워크 개요

(1) 네트워크 기본 개념

  • LAN(근거리 통신망): 한정된 지역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.

  • WAN(광역 통신망): 넓은 지역을 연결하는 네트워크.

  • 인터넷: 전 세계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시스템.

(2) 네트워크 장비

  • 허브: 네트워크 장치들을 연결하여 데이터 전송.

  • 스위치: 목적지에 따라 데이터 패킷을 전달.

  • 라우터: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경로를 설정.


8. 보안과 암호화

(1) 보안 위협

  • 바이러스: 컴퓨터 파일을 감염시키고 손상.

  • 랜섬웨어: 파일을 암호화한 후 금전을 요구.

  • 피싱: 가짜 웹사이트나 이메일을 이용해 개인정보를 탈취.

(2) 보안 대책

  • 백신 소프트웨어 사용: 악성 코드 탐지 및 제거.

  • 방화벽(Firewall) 설정: 외부 공격 차단.

  • 데이터 백업: 중요 파일을 보호하기 위해 정기적인 백업 필요.

You might like

댓글 쓰기

다음 이전
맨위로